어느 부부의 이별과 사랑, 그 슬픈 둔주곡(遁走曲)
“미안 하지만 난 당신을 사랑하지 않아.
왜 결혼했는지 모르겠어.” 나는 말했다.
아내가 두 손으로 얼굴을 가리고 말없이 울었다.
난 미안 했지만 등을 돌리고 집을 나왔다.
아내와 더 이상 살아 갈 자신이 없었기 때문이다.
아내에게 이혼 서류를 꺼냈다.
“집과 자동차 부동산과 현금
그 중에서
당신이 30%를 가질 수 있어.”
아내는 말 없이 눈물만 흘렸다.
이튿 날 집에 돌아 와 보니
탁자에 아내가 써 놓은 편지가 있었다.
눈물이 얼룩져 있어서 혹시 내 맘이 흔들릴까 봐
읽지 않으려 하다가 나도 모르게 읽어 내려 갔다.
‘난 아무 것도 원하지 않아. 다만 한 달쯤 시간을 갖고 싶어.
한 달 만이라도 아무일 없는 것처럼 대해 줘.
아이 시험기간이니까 신경쓰지 않게,,,
그리고 이혼조건으로 한 가지 부탁만 할게.
당신이 결혼 첫 날 아침 출근 할 때 나를 안아서
거실에서 현관까지 갔던 것처럼 한 달간만 그렇게 해 줘.’
‘이 여자가 미쳤나?’ 이런 생각이 들었지만
'한 달이면 끝날 일이니까' 라고 생각하며
그렇게 해주기로 했다.
첫 날 거실에서 아내를 들어 올려 안았을 때
몹시 어색했다.
몇 년 간 우린 신체 접촉이 없었으니까.
10보를 걸어 현관까지 갔을 때 뒤에서 아이가 박수를 쳤다.
멋 있다면서...
나는 아이에게 웃음을 지어보이며 아내를 내려 놓고 출근했다.
둘째 날은 첫 날보다 나아졌다.
아내는 내 가슴에 적극적으로 기댔고
블라우스에서는 향기가 났다.
피부의 잔주름을 보면서 '그 동안 모르는 사이 이렇게 됐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나와 결혼해 이렇게 되였구나
생각하니 조금 미안 했다.
셋째 날, 넷째 날 아내를 들어 올렸을 때
오래 전의 친밀함이 돌아 오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내게 자신의 10년을 바친 이 여자.
다음 날 또 다음 날 아내를 안아 나르는 것이
익숙해 졌다.
어느 날 아침 아내가 옷을 고르고 있었다.
옷들이 모두 커져 버렸다며 투덜 댔다.
그러고 보니 아내를 들면 들수록
가벼워지는 느낌이 있었다.
이혼걱정에 야위어 가고 있는 중일까?
또 다른 아침 아들이 들어오더니 "엄마를 안고 나갈 시간이에요."
라며 미소를 짓는다.
녀석에게 이 일이 이제 일상으로 자리 잡은 것이다.
아내는 아이를 꼭 껴 안는다. 마음이 흔들리고 있다.
드디어 마지막 날이 왔다.
나는 아내와 헤어 질 수 없다는 걸 알았다.
이혼을 취소하기로 했다.
회사에서 나온 뒤 꽃집에 들려 부케를 샀다.
부케엔
"나는 이제 부터 죽을 때까지 당신을 아침마다 들어 올릴게!"
라고 써달라고 했다. 그리고 집으로 달려 갔다.
"여보 미안해 우리 헤어지지 말자.
난 당신을 여전히 사랑해."
현관에 들어서자 마자 나는 소리쳤다.
아무런 응답이 없었다.
안방으로 들어서자 아내는 잠든 듯 가만히 누어 있었다.
그 녀는 숨져 있었다.
아내가 남긴 편지에서 위암 말기였다는 사실을 알았다.
아내는 자신의 시한부 삶을 받아 들였고
아들에게 다정한 부모의 마지막 모습으로
기억하게 하고 싶었던 것 일까?
부케를 떨어 뜨리며 나는 주저 앉은 채
아내를 안고 한 없이 운다.
위에 글은
외국인의 페이스북에 올라 왔던 글입니다.
실화이든 소설이든 사연이 가슴을 아프게 하네요.
우리는 날마다 함께 하고 가깝게 접하는 것들에 대해서는
귀하고 가치 있다는 것을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것이 얼마나 소중하다는 것도 인식하지 못하지요.
그러다 내 곁을 떠난 후 에서야 깨닫게 되지요.
그 때서야 가슴 치며 후회해도 소용없게 된답니다.
내 곁에 있는 소중한 사람..
오늘 하루 따뜻한 미소로 대하는
하루 만들어 보세요.
사라진 뒤에야 빛이 나는 행복 물고기는
물 속에 있을 때는
그 어느 곳으로든 갈 수 있는 자유와 행복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물고기는
자신이 자유롭고 행복한 존재라는 사실을 알지 못 합니다.
사람들이 쳐 놓은 그물에 걸려 땅 위에 올라 오고 난 후에야
비로소 그 때가 행복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사람 또한 마찬가지 아닐까요?
가지고 있을 때는 모르다가 꼭 잃어 버린 후에야
뒤 늦게 행복이 무엇인지 깨닫게 되는 못난 습성.
행복은 공기 같은 것입니다.
보이지도 않고 만질 수도 없지만
어느 곳에나 있는...
영국 속담 중에는 이런 것이 있습니다.
"행복은 사라 진 후에야 빛을 낸다."
사람들이 행복의 실체를 보고 만질 수 있다면
그 것이 떠나 가기 전에 소중히 다루련만
행복은 언제나 떠나 가면서
제 모습을 사람들에게 보여 준다는 말이겠지요.
◎ - 박성철
"사라진 뒤에야 빛이 나는 행복" -
◎ 출처 : 지인 카톡 글 ◎ 음악 : 열애 - 윤시내 ◎ 편집 : 행복 나눔이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