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은 내 마음 속에
검색
메뉴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좋아요
-
댓글달기
-
공유하기
메뉴 레이어
행복은 내 마음 속에
메뉴 리스트
홈
태그
방명록
분류 전체보기
(1148)
좋은 글
(379)
감동 글
(38)
유모어
(21)
건강과 식생활
(22)
여행
(58)
사진 & 이미지
(30)
카톡 글 ,사진 ,영상
(560)
우리 문화유산
(1)
고금소총
(2)
검색 레이어
행복은 내 마음 속에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블로그 내 검색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공자(孔子)의 자절사(子絶四)
카테고리 없음
by
행복나눔이2
2023. 9. 14. 07:17
본문
좋아요
-
댓글달기
0
공자(孔子)의 자절사(子絶四)
논어(論語)에는
공자(孔子)(BC551~BC479)가 말한
‘자절사(子絶四)가 있는데
여기서 절사(絶四)는
‘네 가지를 끊다’라는 의미(意味)다.
이는 네 가지는 절대(絶對) 하지 말란 얘기다.
공자(孔子)가 오랜 경험(經驗)과
통찰(洞察)을 통(通)해
절대(絶對) 하지 말 것을 강조(强調)했을 만큼,
중요(重要)한 덕목(德目)이니,
맘에 두고 최대(最大)한 실천(實踐)해 보자.
겸손(謙遜)한 태도(態度)는
시대(時代)를 불문(不問)하고
중요(重要)한 처세(處世)임이 분명(分明)하다.
바로 ‘무의(毋意)’, ‘무필(毋必)’, ‘무고(毋固)’, ‘무아(毋我)’ 이다.
즉(卽), 자기(自己) 마음대로 결정(決定)하지 않고,
함부로 단언(斷言)하지 않았으며,
( 自己) 고집(固執)만 부리지 않았고,
따라서 아집(我執)을 부리는 일이 없었다고 한다.
이 모두를 한 단어(單語)로 정리(整理)할 수 있는데
💝 바로 ‘겸손(謙遜)’이다.
무의(毋意) : 함부로 억측(臆測)하지 마라.
상식(常識)과 편견(偏見)은
종이 한 장 차이(差異)다.
모든 일을 조사(調査)하며
진행(進行)할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자기( 自己)직감(直感)에만
의존(依存)하는 것도 위험(危險)하다.
균형 감각(均衡感覺)을 발휘(發揮)해야 한다.
어떤 것을 예단(豫斷)하기 전에
그것이 진실(眞實)과 다름이 없는지,
지나치게 편견(偏見)에 의존(依存)한
판단(判斷)은 아닌지 늘 경계(境界)해야 한다.
애매(曖昧)한 일은 귀찮더라도
한 번 더 조사(調査)해 보고
판단(判斷)하는
신중(愼重)함이 필요(必要)하다.
무필(毋必) : 자신(自身)만 옳다고 믿지 마라
옳고 그름에
너무 집착(執着)하지 마라.
세상(世上)에 100% 한쪽만 진리(眞理)인 건 없으며
설령(設令) 맞더라도
조건부(條件附)인 경우(境遇)가 대부분(大部分)이다.
자기( 自己)믿음도 중요(重要)하지만,
그걸 만고불변(萬古不變)의 진리(眞理)처럼 믿고 내세우면
주위(周圍)에 적(敵)이 많아진다.
특별(特別)히 대단한 사안(事案)이 아니라면
주변(周邊) 사람과 의견 충돌(意見衝突)은
‘다름’으로 풀어 나가야지,
‘옳고 그름’으로 풀어선 안 된다.
유연(柔軟)한 태도(態度)로 대처(對處)하는 게 좋다.
무고(毋固) : 끝까지 고집(固執)부리지 마라.
살다 보면 자기 주관(自己 主觀)을
관철(貫徹)해야 하는 순간(瞬間)이 분명(分明) 있다.
특히 결단력(決斷力)이
중요(重要)한 리더(leader)라면 더 그렇다.
그런 순간(瞬間)에 책임감(責任感)을 바탕으로
밀어붙이는 추진력(推進力)이 필요(必要)하다.
하지만 대부분(大部分)
그렇게까지 굴어야 할 일은 별로 없다.
사소(些少)한 거 하나하나 자기( 自己)뜻대로 해야 하는 사람은 정작 중요(重要)한 일을 놓치기 쉽다.
웬만한 건 적당(適當)히 넘어가고 중요(重要)한 것만 취(取)할 줄 아는 요령(要領)이 중요(重要)하다.
무아(毋我) : 자신(自身)을 내세우지 마라.
모난 돌이 정(丁) 맞는다.
우리 사회(社會)는 전면(全面)에 나서는 사람에게 그렇게 관대(寬大)하지 않다.
그 사람이 잘나서 나선 거면 잘난 척한다고 욕(辱)하고,
그냥 나서면 나댄다고 비하(卑下)한다.
어쨌든 대부분( 大部分) 적극적(積極的)인 사람을
자신감(自信感)보단 자만감(自慢感)으로 느끼는 사람이 많으니
나설 땐 늘 조심(操心)해야 한다.
다소 가식적(多少 假飾的)이란 평가(評價)를 들어도 좋으니
최대(最大)한 겸손(謙遜)한 모습(模襲)을 보여줄 필요(必要)가 있다.
그게 진심(眞心)이든 아니든 말이다.
받은 글
우리 벗님들~!
健康조심하시고
親舊들 만나
茶 한잔
나누시는
餘裕롭고 幸福한 나날 되세요~^-^
시선의 높이가
삶의 높이다
터~치!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행복은 내 마음 속에
댓글 영역
댓글
개
댓글 쓰기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티스토리툴바
행복은 내 마음 속에
구독하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