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백락일고 백락상마(百樂一顧 百樂相馬)

좋은 글

by 행복나눔이2 2023. 3. 14. 20:54

본문





백락일고 백락상마
(百樂一顧 百樂相馬)

千里馬(천리마)에게,
"소금수레"를 끌게 해서야

인재를 몰라보는 '눈먼 사회'
명마(名馬)는 눈 밝은 사람에게만 보인다.

중국,춘추 전국시대 말 감별사인
"백락(伯樂)"은 남다른 안목을 가졌다.

어느 날, 말 장수가
아무도 자기 말을 사지 않는다고 탄식했다.

"백락"이 자세히 보니,의외로 준마였다.

그는 아깝다는 표정으로 혀를 차며
감탄사를 내뱉었다.

그 모습을 본 사람들이 앞다투어 몰려들었다.
말은 열 배 넘는 값에 팔렸다.



여기에서 ‘백락일고(伯樂一顧)’
라는 "고사성어"가 나왔다.

한 번은, 그가 왕의 명으로
명마를 구하러 가다가

험한 산길에서
'소금수레'를 끄는 말을 발견했다.

그 말은 비쩍 마르고 볼품 없었지만,
그는 금방 알아챘다.

"이런 천리마가 무거운 소금수레를 끌고 있다니! "

그가 말을 붙잡고 울며,
옷을 벗어 덮어주자,

말이 앞발을 높이 들고 구슬피 울었다.

천리마가 소금수레를 끈다는 뜻의
‘기복염거(驥服鹽車)’는

"우수한 인재가 재능에 맞지 않게
변변찮은 일을 하고 있는 것"을 일컫는다.



"뛰어난 인재가 때와 사람을 못 만나
재주를 펴지 못한다"는

‘회재불우(懷才不遇)’도 같은 말이다.

재주를 품고 있어도(懷才)
기회를 만나지 못한다면

"불우(不遇)한 사람"이다.

좋은 가정과 부모를 만나지 못한
"불우 청소년",

경제 상황이 나쁜
"불우 이웃"도 그렇다.

懷才不遇 (회재불우)는

중국 한나라 때,
가의(賈誼)가 쓴 《신서(新書)》에서 유래했다.

뛰어난 재능을 갖춘 "가의"는,
“법령을 간략하게 해,형벌을 줄이고,

富(부)를 축적하여 국방을 튼튼히 해야 한다”
는 등의 개혁안을 잇달아 건의했다.



또한 “지금처럼 한 사람이 밭을 갈고
열 사람이 빌붙어 먹으면,

굶주림을 면할 수 없으니,
모두가 일을 하고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며

경제정책까지 내 놓았다.

그러나,간신들의 시기로
요직에 등용되지 못하고 좌천 되었다가 ,

33세의 젊은 나이에 죽고 말았다.

이런 그를 아까워한 사람이 많았다.

당나라 시인 "이 상은(李商隱)"은
‘가생(賈生)’이란 시(詩)에서,

‘인재 구해 쫓겨난 신하까지 부르니,
"가생"의 재주 견줄 사람 없지만,

안타까워라,

한 밤중 무릎 당겨서 민생은 묻지 않고
귀신만 묻는구나’ 라고 읊었다.



귀한 인재를 구한다면서

밤늦도록 무릎 맞대고 묻는 게
국가 현안이 아니라,

허황한 귀신 얘기뿐이라며,
‘눈먼 통치자’를 풍자한 것이다.

시인 "이백"과 "두보"도
정치적 재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생을 마감했다.

한 세기 후의 신라 인물 "최치원"
또한 그랬다.

중국에서 과거에 급제하고,
국제적으로 문명을 날린 그였지만,

귀국 후,

6두품이라는 신분의 굴레에 갇혀
뜻을 펴지 못하고,

‘가을바람에 괴로이 읊조리나,
세상에 날 알아주는 이 없네’라며 한탄했다.



좋은 인재는
적재적소에 쓰일 때 빛이 난다.

"백락"이 수레 끌던 말을 사 오자,
왕은 “웬 비루먹은 말이냐”며 화를 내었다.

"백락"은 아랑곳하지 않고
제일 좋은 먹이를 주며 힘써 보살폈다.

그러자,비쩍 말랐던 말이
위풍당당한 "천리마"로 변신했다.

왕이 놀라워하며 말에 올라 채찍을 휘두르자
천리길을 단숨에 내달렸다.

예나 지금이나, 명마는 많지만,
알아보는 이 는 많지 않다.

당나라 문인 한유(韓愈)가,

“천리마는 늘 있으나
백락은 드물다”라고 했듯이,

요즘도 뛰어난 인재는 많으나,

이를 제대로 기용할 줄 아는
지도자가 드문 것이 문제이다.




‘만날 우(遇)’자에는
‘상대를 대접하다’라는 뜻도 있다.

훌륭한 인물을
예로써 대하는 것이 곧, 예우(禮遇)다.

유권자들도 ,선거 때마다
난립하는 후보 중에,

"누가 나라의 큰일을 해낼 수 있는지?"
구별하는 "백락"의 안목을 갖춰야 한다.

잘못하면 명마의 외투를 입은
나귀나 노새를 뽑을 수 있다.

또한,‘명마’의 반열에 이미 오른
인재라도 언제든

"소금수레 끄는 말"로

전락할 수 있다는 점을
결코,잊지 말아야 한다.

날렵한 천리마가 놀고 먹으면서
단련을 게을리하면,

살만 뒤룩뒤룩 찌고 쓸모가 없어진다.



보검에 녹이 슬면,
날 선 牛刀(우도=소 잡는 칼)보다 못하고,

"名馬(명마)"에 살이 붙으면,
나귀나 노새에도 뒤진다고 했다.

🔶 옮긴 글 🔶


'좋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남과 이별  (0) 2023.03.16
삶의 여로  (0) 2023.03.15
사는 게 뭐라고  (1) 2023.03.14
滅情(멸정)  (0) 2023.03.12
人生草露(인생초로)  (0) 2023.03.1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