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덕(德)이란?,어머니의 편지

카톡 글 ,사진 ,영상

by 행복나눔이2 2023. 5. 29. 21:17

본문




💖 덕(德)이란 💖

🤠 덕이란 수많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얻은 수양(修養)의 산물(産物)이며
노력의 결과입니다.

🧧💖덕에는 음덕(陰德)과 양덕(陽德)이 있는데,

음덕이란 남에게 알려지지 않은 선행(善行)을 말하고,
같은 선행이라도 남에게 알려지는 것을 양덕이라고 합니다.

💖세상에는 빛과 향기를 드러내는 것과 제 스스로는 아무것도 드러내지 않으면서 빛과 향기를 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물과 꽃이 그렇습니다.

💖아름다운 꽃을 피울 수 있도록 생명력을 불어넣는 물은 항상 가장 낮은 곳으로 흐르면서 세상의 온갖 때를 다 씻어줍니다.

💖바위와 험한 계곡을 마다하지 않고 모든 생명을 위해 묵묵히
그리고 쉬지 않고 흐르는 것입니다.

💖​그런 물과 같은 사람,
물과 같은 인생이야말로 가장 아름답고 향기로운 존재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다들 제 빛깔과 향기를 드러내기 위해 여념이 없는 세상에서 물과 같은 사람이 없다면 세상은 온통 시들어버릴 것입니다.


🤠사람들은 대부분 물과 같은 존재가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알면서도 그 역할을 다른 사람이 해주길 바라고 스스로는 그 물의 덕만 보려고 합니다.

🤠세상에서 꽃과 같은 사람만 있고 물과 같은 존재가 없다면 어떻게 될지 상상해 봐야 합니다.

🤠그러나 남에게 무엇을 베풀었음에도 반대급부를 바라지 않고 음덕(陰德)을 쌓고 사는 사람을 우리의 주변에서 많이 볼 수가 있습니다.

🤠음덕을 쌓는 사람에게는 대우주(하늘)에서 베푸는 양보(讓步)가 있습니다.

🤠또한 옛 선인(先人)들이 우리에게 내려준 교훈 가운데 작은 일이라도 선한 것이 아니면 행하기를 두려워하고 좋은 일이라고 생각되면 망설이지 말고 행하라고 했습니다.

💖작은 선(善)도 쌓이면 큰 덕(大德)이 되고 자신은 물론 국익발전에 도움이 되지만,

😖반대로 작은 악(惡)이 쌓이면 대악(大惡)이 되어 쇠에서 생긴 녹이 제 몸을 깎아 먹듯 스스로를 파괴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그래서 노자는 물을 상선약수(上善若水)라고 하여 최고의 선은 물과 같다고 하였습니다.

물은 그릇에 담길 때 자신의 모양을 고집하지 않고 그릇의 모양대로 담긴다고 하지요.

나를 버림으로써 지고지순(至高至純)의 본래의 모습을 찾는 것입니다.

🤠오늘도 당신은 덕을 많이 쌓는 즐거운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아버지 죄송합니다.

http://m.blog.daum.net/swkor624/1326

미리 손수건 준비하시고 
끝까지 경청해주시길 바랍니다.

저는 눈물 반 바가지나 흘렸습니다.😭😭😭


  ♤ 어머니의 편지 ♧

파란 보리알 한 사발을 작은 손가락으로 만들어 들고 온 어린 아들의 곱고 고운 정성에 나는 울었다.

고사리 같은 너의 두 손을 꼬옥 안아 주고 싶었지만 나는 너를 위해 매를 들지 않을 수가 없었다.

안아주고 싶은 자식을 때려야만 했던 엄마는 가슴에 못을 박는 
아픔이었다.

엄마를 생각하는 너의 마음 정말 고맙다. 
내 사랑하는 아들아.

@ 어머니의 편지이다. 

그러니까 내가 초등학교 1학년 때 일이다. 

집에 먹을 것은 없고 엄마는 몹시도 아파서 방에 누워 앓고 계셨다. 
굶고 누워만 계시는 엄마를 지켜만 볼 수 없어 보리밭으로 나갔다. 

아직 여물지도 않은 파릇파릇한 보리 이삭을 손으로 잡았다. 
남의 것을 훔치려니 손이 떨리고 무서웠다.   

엄마를 위해 용기를 내어 한아름 뽑아다가 불을 피워 놓고 태워 익혔다. 
태운 보리를 내 작은 손가락으로 비벼서 파란 보리알을 골라 하얀 사발에 담았다. 



누워 신음만 하시는 엄마 앞에 조심히 사발을 들고 앉았다.
“엄마, 이거라도 드시고 기운 내세요.”

엄마는 힘들게 일어나 앉으시더니 내 손을 보시고 사발을 보셨다. 
내 손은 까맣게 재가 묻어 있었다.

“어서 나가서 매를 만들어 오너라.”
소나무 가지를 꺾어 매를 만들어 왔다.

“굶어 죽더라도 남의 것에 손을 대서는 안된다.
바늘 도둑이 소 도둑 되는 거야.”

바지를 걷어 올리고 많이 맞았다. 
까칠까칠한 소나무 가지라서 아프기도 많이 아팠다.

“엄마, 용서해 주세요.
잘못했어요.다시는 도둑질 안 할게요.”


엄마를 위해 했던 
일이 도리어 엄마를 슬프게 하고 말았다.   

마음까지 아프게 한 것이 너무 마음에 걸려 울었다.
“이대로 들고 가서 밭주인에게 사죄하거라”

사발 속에 눈물을 뚝뚝 떨어 뜨리면서 
친구 달봉이네 집으로 갔다.   

하얀 사발을 앞에 놓고 마당 가운데 무릎을 꿇었다.

“달봉이 엄마, 용서해 주세요.
제가 잘못했어요.”

달봉이 엄마는 깜짝 놀라 달려 나와 물으셨다.
“난대 없이 이 사발은 뭐고, 용서는 무슨 말이냐?” 

보리타작 이야기를 말씀드렸다.   
달봉이 엄마는 나를 일으켜 세우시더니 내 다리부터 보셨다. 

내 종아리를 보신 달봉이 엄마는 나를 안고 우셨다.


“이 어린 자식이 무슨 죄야, 가난이 죄지.
너의 엄마도 참~.”

달봉이 엄마는 눈물을 닦으시며 보리알 사발에 쑥개떡을 담아 주셨다.

“엄마 밥은 내가 만들 테니까,
너는 걱정 말고 가서 쑥떡이나 먹거라.”

먼 눈물 이야기로 시작한 나의 인생길~   
이 편지를 볼 때면 어린 시절 어머니와의 추억에 눈물이 맺힌다.
 
나는 어머님의 임종 소식을 도쿄에서 들었다.   
타국에 있는 자식을 기다리다 눈을 감으신 것이다. 

갚아야 할 은혜가 산 같은데   
다시는 만날 수 없는 곳으로 떠나신 지 어느새 18년이 지났다.
 

 ♤ 어머님을 그리며♧

사랑 하나~ 
정성 하나~ 
눈물 하나~  

날마다 자식 나무에 물을 주어
푸른 동산을 가꾸어 주신 어머니

자식의 기쁨을 당신의 기쁨으로
자식의 슬픔도 당신의 슬픔으로

어머니의 발자국 마다마다에는
마를 수 없는 사랑이 가득 고여 있습니다.

힘든 농사일에 그토록 지치신 몸으로
자식에게는 곱게 곱게 입혀 주고 싶어서  

깊어 가는 밤~
그 다듬이질 소리 들려 옵니다.

아직 닭도 울지 않은 이른 새벽 도시락을 만들어주시던 어머니
조용한 그 칼,도마 소리 정겹게 들려옵니다.

자식을 위한 어머님의 땀방울~
자식을 위한 어머님의 눈물~  

은혜의 강이 되어 
지금 내 가슴 속을 흐르고 있습니다.

제가 그토록 고향이 그리웠던 이유는  
그곳에는 어머님이 살아 계셨기 때문이었습니다.  

이제는 어디서 그 사랑을 만나볼 수 있을까요?  

걸어온 길 뒤돌아 곰곰이 생각해 보면
기뻤던 날들보다 슬펐던 날들이 더 고왔습니다.

산과 들에 뻐꾹새 뜸북새 우는 산마을 내 고향   

그 새파란 보리밭으로
어린 소년 하나가 엄마를 부르며 달려 갑니다.

♤☆♧♤☆♤☆♧♤☆♤☆♧♤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