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德目(덕목)과 人格(인격)💢
불만(不滿)은 위(上)만 보고, 아래(下)를 보지 못한 탓이요,
오만(傲慢)은 아래(下)를 보고, 위(上)를 보지 못한 탓이니,
곧 비우지 못한 욕심(慾心)과 낮추지 못한 교만(驕慢) 으로 부터, 自我(자아)를 다스리는 슬기로움이 부족한 탓 입니다.
智慧(지혜)로운 者는, 남보다 내 허물을 먼저 볼 것이며.
어진 자는 헐뜯기 보다 칭찬을 즐길 것이며.
賢明(현명)한 자는, 소리와 소음을 가릴줄 알것이로되.
반듯한 마음과 옳은 생각으로, 곧은 길 바른 길을 걷는다면. 뉘라서 謙遜(겸손)의 미덕(美德)을 쌓지 못하며. 덕행(德行)의 삶을 이루지 못하리오,
마음의 平和는 비움이 주는 축복이요, 영혼의 香氣는 낮춤이 주는 선물입니다.
人格(인격), 사람됨이란, 마음의 良識 (양식)에 달렸습니다. 말(言)이 번듯하다고, 곧 행동이 반듯한 것은 아니며.
얼굴이 곱다고, 곧 마음씨가 고운 것도 아닙니다.
學文이 높다고, 반드시 人格이 높은 것은 아니며. 富(부)를 쌓았 다고, 반드시 德(덕)을 쌓은 것도 아닙니다.
진실한 사람은, 말로써 말하지 아니하고, 정직한 사람은, 每事(매사)에 곧음이 보입니다.
있어도 인색한 사람이 있는가 하면, 없어도 후한 사람이 있습니다.
아는 것이 많아도 모르는 것이 더 많다는, 겸손(謙遜)은 진정한 知識人의 美德입니다.
어진 사람은 그 도량(度量)이 큰 나무와 같아 제 그늘로 쉼터를 제공합니다. 또한 善한 사람은 그 性品이 꽃처럼 아름다워, 제 香氣로 나비를 부릅니다.
그러나 거짓을 일삼는 사람은, 세치의 혀(舌)로 불신을 낳고, 術數(술수)에 능한 사람은 스스로 제 무덤을 팝니다.
🎁 - 좋은 글 중에서 - 🎁
❤️재미있는 우리말 유래(由來) 10가지❤️
1. 어처구니
첫째: 궁궐의 전각이나 남대문 같은 문루의 기와지붕 위에 사람이나 갖가지 기묘한 동물들의 모양을 한 토우(土偶: 흙으로 만든 인형)들이 있는데
이를 "어처구니"라고 합니다.
"어처구니없다"라는 말의 유래는 궁궐, 또는 성문을 짓는 와장(瓦匠)들이 지붕의 마무리 일로 어처구니를 올리는데,
이걸 실수로 잊어버리는 경우 "어처구니없다"라는 말을 사용했습니다.
둘째: 어처구니는 맷돌의 손잡이를 가리키는 순 우리말입니다.
그 무거운 돌 두 짝을 포개어 놓고 한쪽 방향으로 돌려야 하는데, 손잡이가 없으니 정말 어처구니가 없겠네요.
2. 시치미
전혀 모르는 일인 양 딴 청을 피우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로,
시치미는 사냥에 쓰려고 길들인 매의 꽁지 깃털에 매달아 놓은 마름 모양의 뼈 조각을 가리키는 순 우리말입니다.
시치미에는 주인의 이름도 적혀 있었고, 길들인 사냥매는 "해동청"이라고 하는 유명한 중국 수출품이어서 꽤 고가였습니다.
길들인 매라고 하지만 꽁지에 매달린 시치미만 똑 떼어버리면 야생 매는 물론 남의 물건과도 구별할 길이 없습니다.
3. 꼽사리
청하지도 않은 사람이 슬며시 끼어들어올 때 "꼽사리끼지 말라"고 합니다. 역마살, 도화살, 공방살하는 소리가 있습니다.
한 가지 살만 껴도 세상 살기가 어려운데 살이 곱으로 끼는 겁니다. 즉, "곱살이" 끼는 겁니다.
그래서 원치 않는 사람이 끼어들면 곱살이 끼지 말라고 합니다.
4. 팽개치다.
시끄러운 소리가 나도록 확 집어 던지는 걸 팽개친다고 합니다.
옛날에는 대나무나 싸리 가지 끝을 여러 갈래로 쪼개서 흙을 채워 넣고는, ‘후 두 둑!’ 하는 소리에 새들이 쫓겨 가도록
새들이 있는 쪽으로 힘껏 내동댕이칩니다.
대나무나 싸리가지로 만든 그 도구의 이름이 바로 팡개입니다. "팡개"치는 겁니다.
5. 뜬금없다.
조선시대 말단 벼슬 중에 "말감고"라는 벼슬이 있었습니다.
말감고가 하는 일은 그날그날 장에 나온 물건의 수요와 공급을 조사하여 가격을 결정하는 일이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이 사람이 기준가격을 공지해야 정상적인 거래가 이루어집니다. 즉, 말감고가 그날그날의 금(가격)을 띄워야(공지) 거래가 시작될 수 있습니다.
그 기준이 되는 가격을 "뜬(띄운) 금(가격)"이라고 합니다. "뜬금없다"라는 말은 띄운 금이 없는,
곧 시세가 없는 황당한 경우를 이르는 말하며 지금은 갑작스럽거나 엉뚱한 경우를 뜻합니다.
6. 자다가 봉창 두드린다.
옛날 시골 흙벽돌집에 가면 창문을 달수도 없고 하니 문틀 없이 그냥 종이로 창문을 흉내 내서 종이만 발라 놓은 것이 있습니다.
열 수도 없으니 당연히 그걸 "봉창"이라 합니다.
어느 촌사람이 방안에서 자고 있다가 밖에서 누가 부르니 잠결에 문인지 창인지 구분 못하고
봉창을 문인 줄 알고 열려고 더듬거리다가 내는 소리가 "자다가 봉창 두드리는 소리"입니다.
7. 터무니없다.
터무니없다는 말은 "터의 무늬가 없다"는 말에서 유래했고, "터무니없다" 줄임 말이 "턱없다"입니다.
터의 무늬(자리)가 없다는 말은 근거가 없다는 뜻이 됩니다.
터무니는 터+무늬에서 유래한 것이고, 터는 본래 집이나 건축물을 세운 자리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집을 허물면 주춧돌 자리나 기둥을 세웠던 자리들이 흔적으로 남아 있게 되는데, 흔적(무늬)조차 없는 경우에는 그 자리에 집이 있었는지 알 길이 없게 됩니다.
터의 무늬(자리)가 없다는 말은 근거가 없다는 뜻이 됩니다.
8. 조바심
옛날 4대 곡식으로 쌀, 보리, 밀과 더불어 조가 있었습니다. 타작을 옛말로 ‘바심’이라고 했는데, ‘조’ 타작이 조바심의 유래가 된 것입니다.
조를 수확할 때 이삭을 잘라다가 한꺼번에 두드려서 텁니다.
그런데 조는 두껍고 질긴 껍질에 겹겹이 쌓여 있어서 타작을 하려면 조 이삭을 모아놓고 아예 부술 정도로 두드려야 탈곡이 되므로,
옛 농부들은 ‘조’ 탈곡을 가장 힘들어 했습니다. 그러니까 농부들에게는 ‘조바심’이 가장 큰 걱정거리였던 것입니다.
9. 산통깨다.
"일을 그르치게 하다"라는 뜻으로, 길이 10cm 가량의 향 목이나 금속 혹은 대나무를 베어 괘(卦)를 새긴 것을 산가지 또는 산대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 산대를 넣은 통을 산통이라고 합니다.
점을 칠 때 산통을 대여섯 번 흔든 다음 산통을 거꾸로 들면 그 구멍으로 산가지가 나옵니다.
이 산가지의 괘로 점을 치는 것을 산통점이라고 합니다.
이때 산가지를 집어넣는 산통을 깨버린다는 것이므로 어떤 일을 이루지 못하게 뒤틀어 버린다는 뜻으로 쓰게 되었습니다.
10. 벽창호
앞뒤가 꽉 막힌 고집불통을 우리말로는 "벽창호"라고 하는데, 이 말은 원래 "벽창우(碧昌牛)"에서 나온 말입니다.
평안북도 벽동(碧潼)과 창성(昌城)지방의 소(牛)가 크고 억세다는 뜻에서 유래했습니다.
게다가 이 지방의 소들은 제 기분에 맞지 않으면 꿈쩍도 하지 않는 고집불통이었으며,
모르는 사람이 와서 끌고 가려고 하면 고집스럽게 버텨서 웬만한 어른들도 다루기가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힘이 세고 고집이 센 벽동과 창성의 소들의 특성을 빗대어 "벽창우"라는 말이 생겼습니다.
그런데 이 말이 벽동과 창성의 소같이 "고집이 세고 무뚝뚝한 사람"을 가리킬 때도 쓰이게 되었습니다.
🎁 - 지인 카톡 글 - 🎁
우리 벗님들~! 健康조심하시고
親舊들 만나 茶 한잔 나누시는
餘裕롭고 幸福한 나날 되세요~^-^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