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가 알려주는 삶의 지혜★
1만 하지 마라. (때때로 자신의 인생을 즐겨라.)
2일 저일 끼어들지 마라. (한번 실패하면 골로 갈 수 있다.)
3삼 오오 놀러 다녀라. (인생은 외로운 존재이니 어울려 다녀라.)
4생 결단하지 마라. (여유를 갖고 살아라.)
5케이(OK)를 많이 하라. (되도록 입은 닫고 지갑은 열어라.)
6체적 스킨십을 즐겨라. (스킨십 없이 홀로 지내면 빨리 죽는다.)
7%에 만족 하라 (올인하지 말고 황혼의 여유를 가져라.)
8팔하게 운동하라. (인생은 짧으니 게으르지 말아라.)
9차한 변명을 삼가라. (변명하면 사람이 몹시 추해 보인다.)
소득의 10%는 친구(동료)들을 위해 투자하라. (노년에 가장 소중한 벗이 있어야 자산 이다)
친 구
세상에서.가장 행복할때는.... 친구를 사랑하는 맘이 남아 있을때이고
세상에서 가장 울고 싶을때는 친구가 내 곁을 떠나 갈 때 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미워하고 싶을때는 친구가 점점 변해 갈 때이고
세상에서 가장 두려울 때는 친구가 갑자기 차가워 질 때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비참 할 때는 친구가 나의 존재를 잊으려 할 때이고
세상에서 가장 웃고 싶을 때는 친구가 즐거워 하는 모습을 볼 때 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고마울때는 친구가 나의 마음을 알아 줄 때이고
세상에서 가장 편안 할 때는 친구가 내곁에 머물러 있을 때 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친근하게 느낄 때는 친구의 손을 꼭 잡고 마주 앉아 있을 때이고
세상에서 가장 외롭다고 느껴질 때는 친구가 내곁에 없다고 생각될 때 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바라고 싶은 것은 친구의 맘속에 내가 영원히 간직되는 것이며.
마지막으로 세상에서 가장 사랑하는 것은
바로 내가 사랑하는 나의 친구. 이 글을 읽는 바로~ 당신입니다...
♡ 인생 70 - 만족함을 알아야 한다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동부승지(同副承旨) 직(職)에 있다가
삭탈관직(削奪官職) 당하고 파주 영봉산 자락으로 낙향한 김정국(1485-1542)은
만족함을 모르는 것이 최고의 병(病)이고 최대의 불행이라 했다.
1.좋은 음식 먹고도 더 욕심(慾心)내고, 2.좋은 옷 입고도 불평하고,
3.좋은 술 마시고도 욕(辱)하고, 4.서화(書畫)를 즐기면서도 화(火)내고,
5.미녀(美女)를 곁에 두고도 또 탐(貪)내고, 6.곡식(穀食) 쌓아 두고도 불만(不滿)이고,
7.좋은 향(香)맡으면서도 좋은 줄 모르고, 위 일곱 가지를 불평불만(不平不滿), 한탄(恨歎)하니
이를 8부족(八不足)이라 했다. 반면(反面)에
만족(滿足)함을 알아야 즐거움도 있고 행복도 있다 했는데,
①토란국에 보리밥 먹고, ②등 따뜻하게 잠자고,
③맑은 샘물 마시고, ④방(房) 가득한 책(冊)을 읽고,
⑤봄볕, 가을달빛 즐기고, ⑥새와 솔바람 소리 듣고,
⑦눈 속 매화(梅花)와 서리 속 국향 즐기고,
위 일곱 가지를 넉넉히 즐기니 이를 여덟 가지 여유 (餘裕)로운 즐거움이라 했다.
인생70,
오랜 세월(歲月) 살아오면서 무엇이 행복이라 느꼈는가?
그 탐욕, 그 불만 모두 부질없는 욕심들 아니던가.
비록 넉넉지 못하고 잘 나지 못했다 해도 만족함을 알아야 한다.
겸손(謙遜)하고 소박하게 감사하는 인생이어야 한다.
“지족상락 (知足常樂) - 만족함을 알면 인생이 즐겁다.
지족제일부 (知足第一富) - 만족을 아는 사람이 제일 큰 부자 (富者)다.
”탐욕을 버리고 만족을 아는 마음이 즐거운 인생의 첫걸음이다.
겸손하게 감사하는 마음에 행복의 길이 있고 즐거움이 있다.
인생 70
- 아직 하고 싶고, 되고 싶고, 갖고 싶은 것 있는가?
산전수전(山戰水戰) 다 겪은 노병(老兵). 남은 것은 J백발(白髮)에다 주름살 뿐.
이 세상(世上)에 태어 나 온갖 아픔 슬픔 다 겪었지만,
이제 인생극장 (人生劇場)의 주연(主演)자리도 내어주고 무대(舞臺)는 불 꺼지고 막이 내린지 오래다.
소외(疏外)와 허무(虛無) 달랜다고 소주 한 잔 나누지만 서글퍼지기는 마찬가지.
그러나 인생 70을 살면서 보람도 있었고 기쁨과 명성(名聲)도 있었는데
무슨 후회(後悔) 있을 건가?
무엇인가 하고 싶고, 되고 싶고, 가지고 싶어 모두 얻으려 땀 흘려 노력(努力)하며 살아온 인생.
이제 황혼(黃昏)에 자투리 시간(時間) 좀 남았을 텐데 아직도 하고 싶고, 되고 싶고, 갖고 싶은 것, 남았는가?
공부(工夫), 사랑, 봉사(奉仕), 여행(旅行), 등산(登山).. 왜 이리 못다한 것들이 많은가?
더 이상 후회(後悔)하지 말고 가슴 아파 말도록 내일(來日)말고
오늘 바로 무엇인가 시작(始作)해야 하지 않는가?
세월 다 가기 전에 꿈은 이루어진다는 생각으로 길을 나서고 몸부림치며 부딛쳐 보아야 하는데 말이다.
지금 이 순간(瞬間) 되고 싶은 것 아직 있는가? 재물(財物), 명성(名聲), 권력(權力), 건강(健康) 또 뭐가 있더라?
다 부질없는 것, 아집(我執), 욕망(慾望), 탐욕(貪慾) 다 버린 지 오래거늘
건강(健康) 이외 다른 것 모두 버리고 다 접어야 하는 것 아닌가?
그저 건강이 행복이다 하면서 마음 편(便)히 사는 것이 제일 아니던가?
또, 일흔 줄 할아버지가 되어서도 아직 가지고 싶고, 지니고 싶은 것, 있는가?
명품(名品) 옷가지, 현금(現金) 한 다발, 혼자만의 애인(愛人). 있다면 좋지만
헛된 망상(妄想)은 실망(失望)을 줄 뿐이다.
가진 것도 버리고 가야하는 데 더 모우고 지녀서 무얼 할 것인가?
점심 값 2만 원이면 친구(親舊) 만나 좋고 뭉치 돈 없어도 그만, 그 만남이 좋지 않던가?
우리들 인생 일흔에는 겸손(謙遜), 자중자애(自重自愛), 건강(健康)..
거기다 웃고 즐기는 여유(餘裕)가 있다면 그 아니 좋은가?
더 이상 욕심(慾心)치 말고 가벼운 몸차림으로 발걸음 씩씩하게
허허 웃으며 즐겁게 살면 그만이다. 🙏
🎁 - 모셔 온 글 - 🎁
🌳 曲線의 美學...🌳
곧게 자란 소나무보다 굽은 소나무가 더 멋지고,
똑바로 흘러가는 냇물보다 굽어 흘러가는 냇물이 더 정겹고,
똑 부러지게 사는 삶보다 좀 손해 보는 듯 사는 삶이 더 정겹다.
일직선으로 뚫린 탄탄대로 보다 산 따라 물 따라 돌아가는 길이 더 아름답듯이
최선을 다하는 사랑보다 배려하는 사랑이 아름답지 않더냐.
사노라니 진정한 강자는 힘센 사람이나 지위 높은 사람도 아니고,
재산 많은 사람도 아니라, 언제나 가슴 둥글고 따뜻한 사람이다.
아프지 않는 것이 제일이요,
기쁨을 만족할 줄 아는 것이 인생 최고의 부자라고 합니다.❤️
🎁 - 지인 카톡 글 - 🎁
우리 벗님들~! 健康조심하시고
親舊들 만나 茶 한잔 나누시는
餘裕롭고 幸福한 나날 되세요~^-^
|
댓글 영역